top of page

시공간 넘나드는 다섯 개의 시선…'시프트 패러다임'

매일신문

김재욱 작 ‘연:화’(捐:火)

25일(일)까지 대구문예회관 1~5전시실

아날로그와 디지털

개인과 단체, 익명과 실명

온라인과 오프라인…

경계에 놓인 현실 표현

‘시프트 패러다임’(Shift Paradi gm·전환 체계)전이 대구문화예술회관 1~5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다. 김병호, 방정호, 임은경, 김재욱, 김지구, 이민경, 전리해, 정기엽 등 8명의 작가가 참여하는 이번 전시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개인과 단체, 온라인과 오프라인, 익명과 실명 등 경계에 놓인 지금의 현실에 대해 생각해 본다. 또 실재와 가상을 구분하기 힘든 경계의 시대에 인간의 감각이 디지털 생태계에서 취하는 모습에 대해 예술가들의 경험과 시각으로 살펴본다.

전시는 다섯 개의 소주제로 구성돼 있다. 1실 ‘벽과 벽의 경계를 보다’는 김병호(벽화), 2실 ‘현실에 깃든 벽을 열다’는 방정호(애니메이션)·임은경(회화), 3실 ‘시프트 타임’은 김재욱·김지구(영상 설치), 4실 ‘시프트 스페이스’는 이민경`전리해(사진 설치), 5실 ‘공간을 감각하다’는 정기엽(물, 수증기, 빛 설치) 작가 등으로 나뉘어 전시한다.

벽화를 그리는 김병호 작가는 거리에서 소통하는 벽화가 전시장으로 왔을 때 어떤 시각적·환경적 변화가 일어날지를 생각해 본다.

방정호 작가는 애니메이션 ‘Human’에서 과학을 발전시키면서 더 진화된 생명체가 되기 위한 인간의 지적 설계와 진화 과정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잔인성과 변태성을 표현한다.

김재욱 작가는 영상 작품 ‘연:화’(捐:火)에서 역대 ‘화재사건’을 전자레인지를 통해 관찰한다. 열고, 닫고, 가열하는 과정 속에서 각각의 사진들이 변화되는 장면을 보여주고, 화재사건의 화제성과 시간이 지나면 잊혀지는 현상을 생각한다.

김지구 작가는 ‘ALT+E’(Alternat ive Evolution)에서 기술의 발전으로 인류의 문화나 언어의 경계가 파괴되고, 0과 1이 전 인류를 하나로 묶고 있는 현상을 생각한다.

이민경 작가는 작가가 관심을 갖는 장소와 공간을 미니어처와 사진 등으로 재현한다.

전리해 작가는 작품 ‘Traces-in-Place’에서 장소가 아닌 작가의 감정이나 인상을 아카이빙했다.

이번 전시 기간 중 매일 오전 11시와 오후 2시, 4시에는 관람자에게 전시를 안내해주는 도슨트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25일(일)까지. 053)606-6152.

최재수 기자 biochoi@msnet.co.kr

 

■기사 원문

opyright 1992~ kimjaeuk. all rights reserved.  /  +82-10-3138-3695  /  ukzae@naver.com

bottom of page